정보관리기술/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무결성 vs 정합성

아이티신비 2024. 2. 7. 09:00

 

문제5) 소데이터 통합 및 마이그레이션 프로젝트에서 데이터 무결성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들의 정합성

을 확보하고 신뢰도를 높이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다음의 내용을 설명하시오.

가. 데이터 무결성(Integrity)과 정합성(Consistency)의 차이

나. 데이터 값(Value) 진단 프로파일링(Data Profiling)의 중점 분석 관점

다.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검증 테스트 방법

답)

 

  1. 데이터 통합 프로젝트 달성 위한, 데이터 무결성 필요성
 
  • 데이터 통합 및 마이그레이션 프로젝트 성공위해 데이터 무결성 확보가 필요함

2. 데이터 무결성과 정합성의 차이 및 데이터 값 진단 프로파일링의 중점 분석 관점 설명

가. 데이터 무결성과 정합성의 차이

 
구분
무결성
정합성
개념
  • 데이터 값이 정확한 상태
  • 데이터의 올바른 유무와 상관없이 데이터들의 값이 서로 일치하는 상태
차이점
  • 어떤 데이터는 정합성은 이상이 없으나, 무결성이 훼손 (중복 데이터가 다 틀린 값으로 정합성은 맞으나, 무결성은 틀림)
  • 데이터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무결성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

나. 데이터 값 진단 프로파일링의 중점 분석 관점 설명

 
구분
기술
상세설명
기초 데이터
분석
컬럼속성 분석
  • 국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의 능력 측정
컬럼분석
누락값 분석
  • 반드시 입력되야 하는 값의 누락이 발생된 컬럼을 발견
값의 허용범위 분석
  • 컬럼 속성 값이 가져야 할 범위내에 속성값이 있는지 파악
허용값 목록 분석
  • 해당 컬럼의 허용값 목록이나 집합에 포함되지 않는 값 발견
문자열 패턴 분석
  • 값의 특성이 문자열로 반복되고 변형되는 대표적인 모형을 미리 정형화하여 해당 컬럼의 특성을 분석
날짜유형 분석
  • 날짜의 유효범위를 체크하는 함수를 작성하여 날짜 규칙에 어긋나는 데이터 검증
특수 도메인 분석
  • 주민등록번호, ISBN 등 특정 번호 형식이 있는 특수 도메인 컬럼의 특성 분석.
유일값 분석
  • 유일해야 하는 컬럼에 중복이 발생되었는지 분석
  • 데이터 값 진단 프로파일링 분석방법 후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검증 테스트 방법 활용

3.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검증 테스트 방법 설명

가.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검증 테스트 개념 및 절차

 
정의
  • 시스템 전환 시 현 데이터를 새로운 시스템으로 옮긴 후, 데이터의 일치성을 검증하는 시험

나.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검증 테스트 방법

 
구분
기법
상세설명
데이터
유효성
테스트
완전성 테스트
  • 타겟 데이터베이스에서 누락된 오브젝트를 식별
외양 테스트
  • GUI 수준에서 오브젝터의 외양에 주안점을 둠
통합 테스트
  • 마이그레이션 후에 애플리케이션 간의 연결성 및 링킹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
프로세싱 테스트
  • 마이그레이션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타겟 애플리케이션과 불러온 데이터의 성공적인 연결성을 보장
단계별
데이터
검증
테스트
추출 검증 테스트
  • 전환 대상 데이터에 대하여 테이블 건수, 금액 등의 검증 보고서 작성 및 정합성 확인
전송 검증 테스트
  • 전송된 추출 파일의 코드 전환 후 검증
전환 검증 테스트
  • Tool 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추출 및 Staging DB 를 구성한 후 검증
  • 데이터 값 진단 분석방법과 마이그레이션 검증을 통해 데이터의 품질 향상

 

 


 

공감과 댓글은 아이티신비에게 큰 힘이 됩니다.

블로그 글이 유용하다면 블로그를 구독해주세요.♥

 

'정보관리기술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규화, 역정규화 / ①  (0) 2024.02.08
병행제어(Concurrency Control)  (1) 2024.02.07
정규화  (0) 2024.02.07
데이터베이스 병행 제어 기법  (1) 2024.02.07
트랜잭션 / ①  (0) 2024.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