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관리기술/정보보안

동형암호(Homomorphic Encryption) / ①

아이티신비 2024. 2. 6. 10:00

문제2) 동형암호(Homomorphic Encryption)

답)

 

 

1. 암호문 연산과 평문 연산 동일, 동형암호(Homomorphic Encryption)의 개요

정의
  • 데이터의 손실/유출 없이 암호화된 상태에서 연산및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세대 암호 방식
  • 동형암호는 격자문제를 응용한 암호의 일정으로 데이터의 안정성이 보장됨.

 

2. 동형암호의 개념도 및 상세 설명

가. 동형암호(Homomorphic Encryption)의 개념도

  • 평문의 연산 결과와 암호문의 연산결과가 일치하여 데이터 분석이 가능함

 

나. 동형암호 상세 설명

구분
항목
설명
유형
  • 부분적 동형암호
  • Partial homomorphic encryption(PHE)
  • 오직 한유형의 연산만 지원
  • 준 동형암호
  • Somewhat homomorphic encryption(SHE)
  • 덧셈과 곱셈 모두 지원하며 몇번의 연산에도 값 보존 처리
  • 완전 동형함수
  • Fully homomorphic encryption(FHE)
  • 준동형암호에 bootstrapping을 통해 이론상으로 대수연산(덧셈, 곱셈, XOR)을 무한번 수행 가능
설계원리
  •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 암호화된 비밀키를 이용하여 노이즈가 감소된 새로운 암호문 생성 후 연산 수행하는 설계 원리
  • 스쿼싱(Squashing)
  • 노이즈 증가 감소, 평문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원리
  • 복호화 알고리즘 및 공개키 일부 변형
알고리즘
  • RAD78
  • 최초 동형암호, 속도가 매우 느리고 암호문의 크기가 수십배 커짐
  • BGN05
  • 덧셈과 한번의 곱셈 연산 보존 가능
  • Gen09
  • 격자(lattice)기반, 난수화 된 에러 사용하여 일정 수 연산 시행 시 에러 증폭되어 복호화 불가능
  • CRT-Based
  •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기반, 큰 숫자 단위 연산하여 많은 정보 저장
  • 동형 암호의 수학적 난제를 해결하여 효율성 개선, 정보 저장 용량 증가를 목표로 함

 

3. 동형암호 활용 방안

 
구분
설명
클라우드 연산
  • 클라우드 내에서 다양한 연산 및 통계모형 구축/활용 시에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정보 유출을 동형암호를 통해 원천 차단
데이터 기반 의료
  • 유전정보, 생체정보 등을 활용한 정밀 의료
자율주행
  • 자율주행으로 수집된 정보의 탈취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입력된 데이터를 동형암호화하여 정보 이동중 발생 가능한 보안 위험 차단
  • 동형암호는 가명정보의 잠재적 재식별 위험을 줄여 가명정보 처리 적정성 검토에서의 위험성 평가를 간소화

 

 


 

공감과 댓글은 아이티신비에게 큰 힘이 됩니다.

블로그 글이 유용하다면 블로그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