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시스템 감리 기출문제해설/시스템 구조 해설

(제 23회) 시스템 구조 / (78)~(79) 해설

아이티신비 2024. 10. 7. 09:00

78. 다음 프로토콜 중에서 링크 계층의 주소를 네트워크 계층의 주소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토콜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②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③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④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네트워크 프로토콜

 

구분
정의
특징
ARP
  • IP 주소로부터 맥 주소를 알아오는 것
  • 네트워크 계층 주소와 링크 계층 주소 사이의 변환을 담당하는 프로토콜
  • ARP는 네트워크 계층 주소(예:인터넷 IP 주소)를 물리조소(예:이더넷 하드웨어, 즉 어댑터 주소 또는 MAC 주소)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
RARP
  • MAC 주소로부터 IP주소를 알아오는 것
  • IP 호스트가 자신의 물리 네트워크 주소(MAC)는 알지만 IP 주소를 모르는 경우, 서버로부터 IP 주소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
  • 하드 디스크가 없는 호스트에서는 송신 호스트 IP의 주소를 보관할 방법이 없음. 따라서 LAN 카드에 내장된 MAC 주소를 매개변수로 하여 RARP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IP 주소를 얻어야 함
ICMP
  • 인터넷 환경에서 오류에 관한 처리를 지원하는 용도로 사용
  • IP 패킷의 데이터 부분에 캡슐화되어 송신 호스트에게 전달
  • TCP/IP 기반의 통신망에서 전송 과정에 문제가 발생하면 라우터에 의해 ICMP 메세지가 자동으로 발생하여 패킷 송신 호스트에게 전달
  • ICMP 는 기능적으로 IP 프로토콜과 같은 계층의 역할을 수행. 그러나 ICMP 메시지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 바로 전달되지 않고 IP 패킷에 캡슐화된 후에 전달
  • ICMP 메시지는 IP 프로토콜의 데이터로 처리되므로 IP 헤더에 캡슐화되어서 계층 2프로토콜로 전달
NAT
  • 공인 IP주소를 사설 IP 주소로 바꿔주는데 사용하는 통신말의 주소 변환기
  • NAT 를 사용하는 목적에는 2가지가 있는데, 첫째는 인터넷의 공인 IP 주소를 절약할 수 있다는 점이고 둘째는 인터넷이랑 공공망과 연결되는 사용자들의 고유한 사설망을 침입자들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점

정답 : ②

 

 

79. 짝수 패리티 기법을 적용하여, 패리티 비트 포함 8비트로 이루어진 아스키코드 대문자 B를 인코딩 할 때 올바른 메모리 비트 값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패리티 비트는 MSB에 위치하며, 대문자 A의 아스키코드 값은 10진수 65임)

 

① 0100 0010 ② 0100 1010

③ 1100 0010 ④ 1100 1010

 

▣ 해설

  1. 아스키 코드 값

 

2. 대문자 B의 아스크 코드값이 66이므로 이것을 이진수로 변환하면

→ 100 0010 가 됨

 

3. 짝수 패리티 기법에 따라 8비트로 위 결과를 나타내면

 

정답 : ①

 



 

공감과 댓글은 아이티신비에게 큰 힘이 됩니다.

블로그 글이 유용하다면 블로그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