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다음의 세 테이블로 구성된 회사 데이터베이스에서 <보기>의 질의문이 실행되었을 때 질의 결과의 내용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단, 테이블의 기본 키는 밑줄로 표시되어 있다.)
직원(직원번호, 이름, 생일, 주소, 부서번호)
부서(부서번호, 부서명, 관리자_직원번호) 부양가족(부양직원번호, 부양가족이름, 성별, 관계) |
<보기>
SELECT 이름 FROM 직원 WHERE EXISTS (SELECT * FROM 부양가족 WHERE 직원번호 = 부양직원번호) AND EXISTS (SELECT * FROM 부서 WHERE 직원번호 = 관리자_직원번호); |
① 적어도 한 명의 부양가족을 가진 직원의 이름을 검색하라.
② 적어도 한 명의 부양가족을 가진 관리자의 이름을 검색하라.
③ 부양가족이 있거나 관리자 역할을 하는 직원의 이름을 검색하라.
④ 관리자인 직원의 부양가족의 이름을 검색하라.
■ 해설
![](https://blog.kakaocdn.net/dn/lnzwt/btsLAz3b7xL/AhRykulGBnqT3LX4gQigG1/img.png)
(가) 직원번호가 부양직원번호에 존재하고(부양가족이 있고)
(나) 직원번호가 부서의 관리자 직원번호에 존재하고(관리자 사번이고)
(다) and (나) 인 내용을 설명하는 것은 ② 번이 됨
정답 : ②
62. 검색 엔진의 평가 척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리콜(recall)은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전체 관련 문서 중에서 실제 검색된 관련 문서의 비율이다.
② 주어진 질의에 대한 관련 문서가 10개라고 할때, 5개의 문서를 검색했는데 관련된 문서가 3개라면 정확도(precision)는 60%이고 리콜(recall)은 30%이다.
③ 랭킹(ranking)이 주어된 검색 결과에서 평균 정확도(average precision)는 검색 결과 중 관련이 있는 문서들의 정확도 값의 평균을 구한 것이다.
④ F-스코어(F-score)는 정확도(precision)와 리콜(recall)의 조화 평균으로 두 값 중 더 큰 쪽으로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다.
■ 해설
① 리콜(recall)은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전체 관련 문서 중에서 실제 검색된 관련 문서의 비율이다.(O)
② 주어진 질의에 대한 관련 문서가 10개라고 할때, 5개의 문서를 검색했는데 관련된 문서가 3개라면 정확도(precision)는 60%이고 리콜(recall)은 30%이다.(O)
③ 랭킹(ranking)이 주어된 검색 결과에서 평균 정확도(average precision)는 검색 결과 중 관련이 있는 문서들의 정확도 값의 평균을 구한 것이다.(O)
④ F-스코어(F-score)는 정확도(precision)와 리콜(recall)의 조화 평균으로 두 값 중 더 큰 쪽으로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다.(X) (작은쪽으로)
![](https://blog.kakaocdn.net/dn/cfrmss/btsLBwdD1jS/2bc0lkSku1QWQDYKc8KpkK/img.png)
정답 : ④
공감과 댓글은 아이티신비에게 큰 힘이 됩니다.
블로그 글이 유용하다면 블로그를 구독해주세요.♥
'정보시스템 감리 기출해설 > 데이터베이스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25회) 데이터베이스 / (65)~(66) 해설 (0) | 2025.02.01 |
---|---|
(제 25회) 데이터베이스 / (63)~(64) 해설 (0) | 2025.01.31 |
(제 25회) 데이터베이스 / (59)~(60) 해설 (0) | 2025.01.29 |
(제 25회) 데이터베이스 / (57)~(58) 해설 (0) | 2025.01.28 |
(제 25회) 데이터베이스 / (55)~(56) 해설 (0) | 2025.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