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4) 정보시스템 감리기준 고시(2021-4호, 2021.1.19)에 의거한 현장 감리의 활동, 작업 내용을 기술하고 PMO(Project Management Office)와의 차이점을 설명
답)
1. 공통 감리의 두 번째 단계, 현장 감리의 개요
![]() |
||
|
2. 현장 감리의 활동 및 작업 내용
가. 현장 감리 활동
![]() |
||
|
나. 현장 감리 단계별 상세 작업 내용
절차
|
상세 활동
|
작업 내용
|
감리 시작
|
현장 감리 준비
|
감리 착수회의 시간, 착수회의 참석자 확인 등 현장 감리에서 필요한 각종 준비를 하는 단계
|
감리 수행환경 확인
|
감리 장소, 시스템 환경 등 사전 준비 상태 확인
|
|
착수회의
|
착수회의 실시
|
감리 계획서 기준으로 감리 수행 절차 및 내용에 대해 설명
|
착수회의 결과 정리
|
착수회의 중 사업자 및 발주자의 요청사항, 감리범위에 대한 변경사항, 점검 항목에 대한 변경 사항이 발생한 경우 이를 감리 계획서에 반영하여 현행화
|
|
감리수행
|
산출물 접수
|
제출된 산출물 목록을 기준으로 내용물의 누락 여부를 확인
|
산출물에 대한 검토, 분석, 시험
|
감리영역별 점검 항목을 기준으로 사업목적 및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 분석, 구현된 기능에 대한 시험을 통하여 요구사항 반영 확인
|
|
문제점 발견 및 개선방향 도출
|
개선 사항 발견 시, 객관적인 입장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향을 도출
|
|
상호 검토
|
감리영역 간 일관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시로 타 감리원 또는 총괄감리원과 의사소통
|
|
사업자 면담
|
감리 수행 중 사업자와 면담을 실시하여 문제점 설명하고,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향을 제시
|
|
발주기관 면담
|
감리 수행 중 발주기관과 면담을 실시하여 문제점 설명하고,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향을 제시
|
|
문제점 및 개선방향 확정
|
전체적으로 일관성 있고 실행 가능한 수준으로 구체적이며, 사업의 목적에 맞는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확정
|
|
보고서(안) 작성 및 검토
|
감리원별 보고서 초안 작성 및 검토
|
발견된 문제점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개선 방향을 감리수행 결과 보고서 초안으로 작성
|
보고서 초안 취합
|
총괄감리원이 감리원별 감리수행 결과 보고서 초안과 감리 계획서를 취합하고 종합의견을 작성하여 감리수행 결과 보고서(안)으로 함
|
|
보고서(안) 검토
|
감리팀 내부 검토 및 사업자, 발주자 검토를 수행하여 감리수행 결과 보고서(안)을 확정
|
|
종료 회의
|
종료 회의 준비
|
감리수행 결과 보고서(안)이 확정되고 발주자, 사업자가 검토하는 단계에 총괄감리원이 발주자와 협의를 통해 종료 회의 준비
|
종료 회의 실시
|
감리수행 결과 보고서(안)과 현장 감리 기간 중 해소되지 않는 이견 사항에 대한 공개적이고 공식적인 토론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
|
|
보고서 확정 및 통보
|
보고서(안) 이견 사항 접수 및 검토
|
종료 회의 시 논의된 이견 사항 및 사업자 및 발주자의 추가적인 이견 사항을 접수해, 해당 감리원과 총괄감리원의 협의를 거쳐 반영 여부를 검토
|
이견 사항에 대한 처리 결과 공유
|
이견 사항에 대한 반영 여부 및 사유 등을 포함하여 사업자 및 발주자와 협의
|
|
보고서 확정 및 통보
|
감리수행 결과 보고서(안) 최종 확인하고 공문과 함께 발주가 및 사업자에게 통보
|
|
|
3. 현장 감리와 PMO의 비교
가. 제도 도입 측면의 비교
구분
|
정보시스템 감리
|
PMO
|
제도 도입 취지
|
사업 수행자가 국가 정보화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발주기관의 요구대로 수행하였는지를 점검하여 정보시스템의 품질을 보장
|
국가 정보화 사업에 대기업집단의 참여가 전면 제한됨에 따라 발주 기관과 중소기업의 사업 관리 전문성 부족 문제를 보완
|
관점
|
제3자 관점(독립적)
|
발주자 관점
|
투입 시점
|
발주 후의 프로젝트 단계별 감리
|
발주 전과 프로젝트 중 단계별 지원
|
법적 근거
|
전자정부법 제57조 1항에 따른 의무사항
|
전자정부법 제34조 2에 따른 권고사항
|
기대효과
|
|
|
나. 수행 측면의 비교
구분
|
정보시스템 감리
|
PMO
|
수행 역할
|
|
|
수행 조직
|
감리법인
|
컨설팅 업체, 회계법인, 대형 SI
|
주요 산출물
|
|
|
사업관리측면
|
직접 사업관리업무 수행하지 않음
|
사업관리 수행
|
|
공감과 댓글은 아이티신비에게 큰 힘이 됩니다.
블로그 글이 유용하다면 블로그를 구독해주세요.♥
'정보관리기술 > 소프트웨어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및 ISMP(Information System Master Plan) 수립 공통가이드 6판 (3) | 2024.01.18 |
---|---|
정보시스템 마스터플랜(ISMP) / ① (48) | 2024.01.17 |
정보시스템 감리, PMO(Project Management Office) / ① (2) | 2024.01.17 |
블랙박스 테스트(Black Box Test) (1) | 2024.01.12 |
소프트웨어 시험 (1) | 2024.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