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시스템감리/감리 및 사업관리

(제 24회) 감리 및 사업관리 / (1)~(25)

아이티신비 2024. 1. 2. 10:23

 

1. 프로젝트 성과 측정에 사용되는 획득가치관리(earned value management)를 위해서는 적절한 진척(progress) 정보가 필요하다. 어느 프로젝트에서는 하나의 작업활동이 시작되면 진척률을 20퍼센트로 인정한다. 그 이후 작업활동의 진척이 계속 증가하더라도 진척률을 계속 20퍼센트로 인정하다가, 그 작업활동이 완료될 때 나머지 80퍼센트를 인정하여 최종적으로 100퍼센트 진척으로 인정해 준다. 다음 중 이러한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가?

 

① 고정비율법(fixed formula)

② 가중 마일스톤 기법(weighted milestone)

③ 시작-종료 측정(start-finish measurement)

④ 달성률(percentage completion)

 

2. 프로젝트 생애주기를 애자일 생애주기(agile life cycle), 예측형 생애주기(predictive life cycle), 점증적 생애주기(incremental life cycle), 반복적 생애 주기(iterative life cycle)로 구분하였을 때 다음 중 반복적 생애주기의 개념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사전에 방대한 양의 계획을 수립한 다음, 한 번 의 순차적 프로세스를 통해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전통적인 접근방식

② 미완성 작업에 대한 피드백을 수용하여 작업 결과를 개선하고 수정하는 접근방식

③ 고객이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완성된 인도물을 제공하는 접근방식

④ 작업 항목을 파악한 후에 점진적 방법을 취하는 접근방식

 

3. 프로젝트 일정관리 기법 중에 하나인 GERT(Graphical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것은?

 

① 작업시간의 분포는 항상 베타분포를 가정한다.

② 마디(node)에서 갈라져 나오는 화살표는 확률적 으로 발생한다.

③ 마디(node)의 이벤트는 항상 확정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④ 네트워크에서 루프가 허용되어 마디(node)의 이벤트나 작업이 루프에 의해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4. 작업분류체계(WBS)의 작업패키지(work package)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것은?

 

① 최하위 업무이며 실제로 수행된다.

② 작업패키지의 크기가 클수록 진척관리가 쉬워진다.

③ 작업패키지의 크기는 보고주기보다 짧게 정하는것이 권장된다.

④ 작업패키지의 크기는 8시간~80시간의 공수가 소요되도록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프로젝트 기획에서는 인도(delivery)를 위한 프로젝트 범위를 상위 수준에서 하위 수준으로 점차 분할하여 정의할 수 있다. 다음 중 분할과정에서 사용되는 개념과 가장 거리가 것은?

 

① 가치흐름 맵(value flow map)

② 테마(theme) 혹은 에픽(epic)

③ 사용자 스토리(user story)

④ 작업분류체계(WBS)

 

6. 획득가치분석에서 EV(Earned Value) = 110, PV(Planned Value) = 90, AC(Actual Cost) = 100 일 때 다음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CV(Cost Variance) = 10

② SV(Schedule Variance) = 20

③ SPI(Schedule Performance Index) = 0.9

④ CPI(Cost Performance Index) = 1.1

 

7. 다음 중 중요한 작업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작업을 병렬로 수행하는 일정 단축 기술은 무엇인가?

 

① 공정압축(crashing)

② 공정중첩단축(fast tracking)

③ 자원평준화(resource leveling)

④ 몬테카를로(Monte Carlo)

 

8. 다음 중 PMI의 PMBOK 7판에서 정의하고 있는 8개 프로젝트 성과영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팀(team)

② 가치(value)

③ 불확실성(uncertainty)

④ 인도(delivery)

 

9. 터크만(Tuckman)의 팀 발달 5단계 중 규범기 (norming)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것은?

 

① 업무효율성이 개선되고 생산성도 증가한다.

② 갈등이 줄어 팀으로서의 일체감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③ 팀 구성원들이 예산이나 일정의 제약조건 등 현실을 인식하고 받아들인다.

④ 프로젝트 매니저는 팀원들의 책임과 역할을 분명히 해주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10. 다음 중 조직의 팀 유형 중에서 교차기능팀 (cross-functional team)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프로젝트 팀이나 문제해결을 위한 태스크포스팀(task force team)이 교차기능팀의 대표적인 예이다.

② 조직의 업무 절차의 효율성이나 비용 절감보다는 목표 달성이나 질적 향상과 같은 가치를 중요시 한다.

③ 조직의 공동 문제나 과업 해결을 위해 조직 전체에 걸쳐 여러 전문 분야의 사람들로 구성된 한시적 팀이다.

④ 새로운 사업이나 제품 개발 혹은 도입에 필요한 아이디어와 대안 찾기와 같은 비일상성 혹은 비정형성이 높다.

 

 

11. 대인관계 기술(interpersonal skill) 중에서 감성 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은 자신의 감정과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이다. 감성지능을 정의하고 설명하기 위해서는 4가지 주요 영역에 초점을 맞추는데, 다음중 그 영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자기 판단(self-judgement)

② 자기 관리(self-management)

③ 사회적 기술(social skill)

④ 사회적 인식(social awareness)

 

12. 다니엘 핀크(Daniel Pink)는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내재적 요인을 주장하였다. 다음 중 그가 주장한 세 가지 내재적 동기부여 요인에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목적(purpose)

② 숙련도(mastery)

③ 자율성(autonomy)

④ 성취(achievement)

 

13. 다음 중 「정보시스템 감리수행 가이드(2022.2)」 에서 제시한 기술적용결과표 준수여부를 점검하는 감리단계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요구정의단계 감리

② 설계단계 감리

③ 종료단계 감리

④ 상주감리

 

14. 「정보시스템 감리기준(2021.1)」에 따른 감리업무 절차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발주자는 감리계약을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 "협상에 의한 계약체결 방법"을 우선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② 감리법인은 단계별 감리수행 전에 감리계획서를 발주자와 사업자 등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③ 설계단계 감리 시 사업자는 설계 산출물이 세부 항목별로 과업내용을 반영하였는지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도록 대비표를 작성하고 감리법인 확인을 거쳐 발주자에 설계단계 감리 실시 전까지 제출하여야 한다.

④ 종료단계 감리 시 감리법인은 감리대상사업 검사 전까지 세부 검사항목별 과업내용 이행여부를 점검하고 그 결과를 감리수행결과보고서에 적합·부적합으로 명시하여 발주자 등에게 제출 하여야 한다.

 

15. 「소프트웨어 진흥법(2021.12)」 및 관련 법령에 따른 ‘적정 사업기간 산정’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적정 사업기간 산정 대상 사업에는 소프트웨어 유지관리 사업도 포함된다.

② 사업금액이 3억원 이하인 사업의 경우에는 국가기관 등의 장이 적정 사업기간을 산정할 수 있다.

③ 사업규모가 1,200 FP인 경우 1인 생산성(FP/MM)은 19를 적용한다.

④ 산정한 적정 사업기간이 1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제21조제2항에 따른 장기계속계약을 체결하여야 한다.

 

16.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2022)」의 대가산정 유형별 대가산정 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구분
대가산정 유형
대가산정 방법
정보화전략계획(ISP)
컨설팅업무량에 의한 방식
소프트웨어 개발
기능점수 방식에 의한 방법
SW유지관리 사업
요율제 방식에 의한 유지관리비
소프트웨어재개발사업
투입공수에 의한 방식

 

17. 다음 중「소프트웨어 진흥법 시행령(2023.1)」과 「소프트웨어사업 계약 및 관리감독에 관한 지침(2020.12)」에 따라 소프트웨어 영향평가 제외 사업을 모두 고르면?

가. 민간투자형 소프트웨어사업
나. 단일기관 내부사용 목적의 소프트웨어 사업
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

① 가, 나 ② 가, 다

③ 나, 다 ④ 가, 나, 다

 

18. 「전자정부법(2022.7)」 및 「동법 시행령(2022.8)」 을 기준으로 다음 사례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A지방자치단체는 지방공기업법에 따라 설립한
B지방공사, C지방공단과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
해 사업비 5억원을 들여 민원업무 처리를 위해
D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① D정보시스템은 ‘여러 중앙행정기관등이 공동으로구축하거나 사용하는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다.

② 사업비에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단순 구입비용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정보시스템 구축사업으로서 사업비가 5억원 이상인 경우’에 해당된다.

③ 사업비에 하드웨어 도입비 4.5억원이 포함된 경우, 감리의 비용 대비 효과가 낮다고 A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인정하는 경우 정보시스템 감리를 받지 않을 수 있다.

④ D정보시스템 구축 사업기간이 6개월 이상이라면 전자정부사업관리를 위탁한 경우에도 사업비가5억원 이상이므로 감리대상에 해당한다.

 

19. 다음 중 감리법인의 위반 행위에 대하여 「전자정부법 시행령(2022.8)」에 근거한 1차 행정처분으로 가장 가벼운 행정처분은?

 

① 법 제59조제2항을 위반하여 거짓으로 감리보고서를 작성한 경우

② 법 제58조제2항에 따른 변경 사항을 거짓으로 변경신고를 한 경우

③ 법 제59조제3항을 위반하여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명칭을 사용하게 하여 정보시스템 감리를 하게 한 경우

④ 법 제59조제1항을 위반하여 감리원이 아닌 사람에게 감리업무를 수행하게 한 경우

 

20. 「정보시스템 감리기준(2021.1)」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것은?

 

① 상주감리원은 단계별 감리의 감리원으로 참여할 수 있다.

② 감리대상사업의 사업비가 10억원이면 2단계 감리를 하게 할 수 있다.

③ 대기업인 소프트웨어사업자의 참여가 제한되는 경우에는 상주감리를 추가로 할 수 있다.

④ 전체 감리인력의 30퍼센트 범위 내에서 인공지능, 빅데이터, 모바일, 정보보호, 법률 및 회계등 다른 분야의 전문가를 배치할 수 있다.

 

 

21. 「ISP․ISMP 수립 공통가이드, 제6판(2022)」 의 내용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기관 중장기 정보화 계획에 근거하여 개별 시스템에 대한 구축 예산을 요구하는 것은 불가하다.

② 법률 개정에 따라 차년도에 시스템을 구축해야하는 사업으로, ISP의 기본구성 내용을 모두 포함한 산출물을 작성한 경우 ISP 사업 종료 이전에 중간산출물 검토가 가능하다.

③ ISP․ISMP 검토 분야는 사업 타당성, 실현 가능성, 규모 적정성, 경제적 효율성 등 4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④ 자체인력으로 수립한 ISP는 검토 신청이 불가능하다.

 

22. 「공공데이터 관리지침(2021.10)」에서 정한 기본 원칙과 가장 거리가 것은?

 

① 공공기관은 보편적 이용권 확대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② 공공기관은 공공데이터의 영리적 이용을 제한하여야 한다.

③ 공공기관은 공공데이터를 원천데이터로 제공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④ 공공기관은 공공데이터를 오픈포맷으로 제공해야 한다.

 

23. 「소프트웨어사업 계약 및 관리감독에 관한 지침 (2020.12)」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것은?

 

① 사업금액이 1억원 이하인 사업의 경우에는 국가기관등의 장이 적정 사업기간을 산정할 수 있다.

② 동일한 상용소프트웨어의 다량 구매로 총금액이 5천만원을 초과하더라도 소프트웨어 1개의 가격이 5천만원 미만인 경우에는 5천만원 미만인 소프트웨어로 간주한다.

③ 민간투자형 소프트웨어사업에서 구매하는 상용 소프트웨어는 직접 구매 대상 상용소프트웨어에서 제외할 수 있다.

④ 하도급계약 승인 신청에 대하여 국가기관의 장이 10일 이내에 승인 여부를 통지하지 않거나통지기간의 연장을 통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하도급을 승인한 것으로 본다.

 

24. 「소프트웨어 진흥법(2021.12)」 및 관련 법령에 따른 ‘소프트웨어사업 영향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국가기관 등의 장은 소프트웨어사업을 발주하려는 경우, 입찰공고를 하기 전에 소프트웨어사업 영향평가를 하여야 한다.

② 국가기관 등의 장은 상용소프트웨어의 구매 사업은 소프트웨어사업 영향평가 대상에서 제외한다.

③ 국가기관 등의 장은 소프트웨어사업 영향평가를 실시하는 경우 민간소프트웨어 시장 침해 가능성을 검토해야 한다.

④ 국가기관 등의 장은 소프트웨어사업 영향평가를 실시한 경우 그 결과서를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제출해야 한다.

 

25.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구축·운영 지침(2022.4)」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것은?

 

① 행정기관 등의 장은 전자적 대민서비스를 구축할 때, 사용자가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 웹 브라우저만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웹 표준기술을 사용하여 구축하여야 한다.

② 행정기관 등의 장은 전자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개인정보파일 및 개인정보처리시스템을 신규 구축·운용 또는 변경하려고 하는 경우, 개인정보 영향평가를 정보시스템 분석완료 전에 수행하여야 한다.

③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입비를 산출할 때, 조달품목이 아니고 최근 도입가격 또는 유사한 거래 실례가격도 없는 경우 3개 이상의 공급업체로 부터 직접 받은 견적가격을 기준으로 적정가격을 산출한다.

④ 총사업비관리대상 사업 중 정보화사업의 총사업비는 예비타당성조사, ISMP, 구축단계(분석, 설계, 개발) 중 분석, 설계 단계가 완료될 때마다 기획재정부와 변경여부를 협의하여야 한다.


정답)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