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 「디지털서비스 제공역량(디지털서비스 심사∙선정 등에 관한 고시(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제2023-43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자의 가용률 보장 정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PaaS : 99.9% 이상
② IaaS : 99.5% 이상
③ SaaS : 99.9% 이상
④ 그 외 서비스 : 99.9% 이상
■ 해설
디지털 서비스 심사 선정 등에 관한 고시
IaaS, PaaS 99.9% 이상
SaaS 99.5 % 이상
● 디지털서비스 심사·선정 등에 관한 고시--별표4. 디지털서비스 제공 역량
구분
|
세부항목
|
평가
|
|
1.1 클라우드 보안인증제에 따른 인증서 제출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에 한하여,[별표1.제출서류]2항에 따라 교육목적으로만 제공할 것을 확약한 경우에는 제출 면제 1.2 침해사고 대응 절차 및 사후관리대책 -클라우드컴퓨팅법, 정보통신망법 등 관련 법률에서 서비스 제공자에게 요구하는 사항 준수 -침해사고에 효과적 대응 및 재발 방지를 위한 절차(대응과정, 보고, 보안시스템 개선 및 교육 등), 주기적인 훈련 및 점검실시 계획 1.3 개인정보·데이터 관리정책 -개인저보의 암호화등 안전한 전송저장 여부, 데이터보관, 반환, 폐기절차 정책, 국외이전 여부 1.4 안전한 코딩방법 -점검방법(점검 툴, 위탁기업 등), 점검시기, 점검결과 및 조치보고서 1.5 취약점 점검 및 조치 -서비스 SW 및 개발·운영환경 보안 취약점 점검방법(점검시기, 점검결과 및 조치보고서, 주기적인 점검계획 수립여부 포함) ※ 클라우드 보안인증제에 따른 인증서 제출 시에는 1.2~1.5 항목 검토 생략 |
적정/부적정
|
2. 운영안정성
|
2.1 가용률-다음 기준에 의한 가용률을 산정근거와 함꼐 제시
정해진 서비스 운영 시간(예정된 가동시간)대비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에 접속 가능한 시간의 비율 -IaaS, PaaS " 99.9% 이상 가용률 보장정책(보상조건 포함) -SaaS : 99.5% 이상 가용률 보장정책(보상조건 포함) -그 외 서비스 : 가용률 보장정책(보상조건 포함) 2.2 모니터링 정보 : 다음 기준에 의한 모니터링 정보 제공 여부를 제시 -IaaS : 리소스 사용량(CPU, Memory, Disk, Traffic), 장애정보(식별정보, 장애시간), 장애정보 알림기능(이메일, SMS등), API 제공 여부 확인 -PaaS : PssS 모니터링 정보 확인, 정보제공의 주체, 역할, 제공절차 확인 -SaaS : SaaS 모니터링 정보 확인, 정보제공의 주체, 역할, 제공절차 확인 -그 외 서비스 : 리소스 사용량, 장애정보 알림기능 등 모니터링 정보 제공절차 2.3 백업 및 복구 : 서비스의 신속한 복구를 위한 장애대응체계 및 백업 복구 정책을 제시 -IaaS, PaaS : 평균서비스 회복시간(일반 및 고가용성 환경), 데이터 벡업 및 복구정책(백업주기, 백업준수율, 데이터복구시간 및 복구시점, 백업데이터 보관기간, 데이터반환 및 폐기) -SaaS : 백업주기, 백업시간, 백업방법(유형), 백업대상 및 범위, 보관장소, 보관기간 등을 포함한 백업정책 및 백업기능(서비스)제공 여부, 추가과징금 여부 및 과금시 가격정책 -그 외 서비스 : 백업정책(백업주기, 백업시간, 백업방법(유형), 백업대상 및 범위, 보관장소, 보관기간)을 명확하게 제싷고 있음 |
적정/부적정
|
3.지원체계
|
3.1 조직·인력 구성 현황 및 이용자 지원 체계
-조직인력 구성현황(가용률, 운영안정성, 지원체계를 유지하기 위한 담당조직, 담당인력, 상호조직간 프로세스 및 연관관계 정의) -이용자 지원체계(이영자 매뉴얼, 교육자료, 업그레이드 계획, 사비스 이전 시 지원계획 등) -지원서비스는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도입·전환에 필요한 업무수행을 위해 관련 자격보유, 교육이수, 수행경험 등 해당 조직의 보유역량 3.2 고객대응 관리체계 -고객의견 수렴채널 구축 여부(FAQ, 온라인헬프, 고객센터 운영 여부 등) -고객의견 수렴 조직(담당조직, 담당자, 연락처), 기술지원조직 운영여부 및 내부처리절차, 고객피드백 절차 등 대응절차 |
적정/부적정
|
정답 : ①
77. 디지털논리회로 중에서 다수의 입력 단자 중에서 조건에 맞는 하나를 선택하여 단일 출력 단자로 연결하는 조합회로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인코더 ② 디코더
③ 멀티플렉서 ④ 디멀티플렉서
■ 해설
- 인코더 :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변조하는 과정에서 신호를 디지털 "코드화" 하는 장치
- 디코드 : 디지털을 아날로그로 복조하는 과정에서 디지털 코드를 아날로그 신호로 "복호화" 하는 장치
- 멀티플랙서 : 하나의 통신 회선에 여러 대의 단말기가 동시에 접속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 디멀티플랙서 : 하나의 입력신호를 받아서 여러 개의 출력신호로 분배하는 역할
![](https://blog.kakaocdn.net/dn/bd5bUa/btsL1WdjBEQ/SNDXwYqU0wkAQRhACPT6C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HYrJo/btsL06gpulo/kV9HK277qkHtr5rOL0ibv0/img.png)
정답 : ③
공감과 댓글은 아이티신비에게 큰 힘이 됩니다.
블로그 글이 유용하다면 블로그를 구독해주세요.♥
'정보시스템 감리 기출해설 > 시스템 구조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25회) 시스템 구조 / (80)~(81) 해설 (0) | 2025.02.08 |
---|---|
(제 25회) 시스템 구조 / (78)~(79) 해설 (0) | 2025.02.07 |
(제 22회) 시스템 구조 / (98)~(100) 해설 (1) | 2024.12.16 |
(제 22회) 시스템 구조 / (96)~(97) 해설 (0) | 2024.12.15 |
(제 22회) 시스템 구조 / (94)~(95) 해설 (1) | 2024.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