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 시스템 업타임은 시스템이 액세스 가능한 상태인 시간이다. 액세스 가능하지 않은 시간은 시스템 다운타임이다. 어떤 서비스가 “5개의 9 가용성” 이라고 하면 1년에 99.999% 시간 동안 사용 가능함을 의미한다. “5개의 9 가용성”일 때 1년당 다운 타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31.5초 ② 5.25분
③ 52.5분 ④ 8시간 45분
■ 해설
- 1년간 시스템 다운 타임
- 5개의 9 가용성 → 1년간 서비스가 99.999% 사용가능(9가 5개)
- 1년(365일) = 365*24=8,760 시간, 525,600분(=365*24*60)
- 시스템 다운 타임 → 1년간 서비스가 0.111% 사용불가능
- 525,600 × 0.00001 = 5,256분(가장 적절한 것은 5.25분)
정답 : ②
81. SSD의 구성요소인 플래시 메모리는 블록 단위의 삭제만 가능하기 때문에 쓰레기 수집(garbage collection) 과정이 요구된다. 이 과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운영체제 차원에서 지원하는 기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TRIM ② 미러링
③ 마모 평준화 ④ 캐시 교체 정책
■ 해설
- TRIM : SSD의 쓰레기 수집 과정의 효율성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킴(운영체제가 파일을 삭제, 이동할 때 해당 데이터가 저장된 SSD 블록이 유효하지 않다고 SSD 컨트롤러에 알려주신 기능)
- 미러링은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RAID 처럼 동일하게 복제하는 기능
- 마모평준화는 SSD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기술(모든 디스크를 골고루 사용하게 하는)
- 캐시 교체 정책 : 메모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로 SSD 와 관련 없음
정답 : ①
공감과 댓글은 아이티신비에게 큰 힘이 됩니다.
블로그 글이 유용하다면 블로그를 구독해주세요.♥
'정보시스템 감리 기출해설 > 시스템 구조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25회) 시스템 구조 / (84)~(85) 해설 (0) | 2025.02.10 |
---|---|
(제 25회) 시스템 구조 / (82)~(83) 해설 (0) | 2025.02.09 |
(제 25회) 시스템 구조 / (78)~(79) 해설 (0) | 2025.02.07 |
(제 25회) 시스템 구조 / (76)~(77) 해설 (0) | 2025.02.06 |
(제 22회) 시스템 구조 / (98)~(100) 해설 (1) | 202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