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관리기술/데이터베이스

공공데이터 베이스 표준화 관리 매뉴얼

아이티신비 2024. 5. 21. 09:30

문제2) 행정안전부에서는 고품질의 공공데이터 제공 및 활용의 선제적 대응을 위해 ‘공공데이터 베이스 표준화 관리 매뉴얼(2023.04.)’을 마련하여 예방적 품질관리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이와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시스템 구축 추진 단계별 예방적 품질관리 활동

나. 공공데이터 예방적 품질관리 4개 진단영역과 9개 진단항목

 

답)

 

 

1. 고품질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공공데이터 베이스 표준화 관리 개요

  • 공공기관이 준수해야 할 표준 관련 지침 내용을 보완하고, 메타데이터 표준 관리항목을 조정하는 등 기관의 효율적 데이터 표준화 지원
  • 계획, 발주,구축 및 운영단계에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데이터 품질관리 4개 영역별 제시된 점검항목을사전 진단하여 계획에 반영하는 절차 의미

 

2. 시스템 구축 추진 단계별 예방적 품질관리 활동

가. 시스템 구축추진 단계별 예방적 품질관리 영역

  • 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은 계획 → 발주 → 설계 → 개발 → 완료 5단계 수행
  • 컨설팅사업은 계획 → 발주 → 현황분석 → 목표 시스템 정의 단계 → 이행 계획(수립) 단계로 구성

 

나. 시스템 구축추진 단계별 예방적 품질관리 영역별 활동

단계
활동
산출물
계획
  • 정보시스템 구축 목표시스템 방향성 등 정보화사업 계획
  • ISP, ISMP
  • 데이터 품질관련 개선과제 정의
  • 사업계획서
발주
  • 목표시스템 구축위한 제안요청서 작성
  • RFP
  • 사업수행사 선정 및 기술협상
  • 기술협상서
설계
  • RFP 기반 사업수행계획서 작성
  • 사업수행계획서
  • 누락없는 요구사항의 시스템 설계
  • 데이터모델
개발
  • 사업수행계획서, 요구사항정의서 기반 개발 및 변경최소화
  • 데이터매핑서
  • 요구사항에 맞는 시스템개발 및 시나리오통한 테스트
  • 데이터진단규격
완료
  • 데이터 완결성 확보위한 관리체계 점검
  • 데이터관리체계
  • AS-IS 시스템과 TO-BE시스템의 데이터 완전한 이행
  • 데이터이행검증서
  • 각 사업별 추진단계에 따라 품질관리 수행내용을 확인하며, 데이터 표준화 관점의 산출물을 확인하여 향후 운영에까지 표준화 연계되도록 진행

 

3. 공공데이터 예방적 품질관리 4개 진단영역과 9개 진단항목

가. 예방적 품질관리 4개 진단영역

진단영역
진단영역 설명
데이터 표준
  • 데이터 모델 설계/용어/단어/도메인/코드 표준 등에 대한 정의
  • 지속적인 변화관리 과정을 체계적으로 통제하는 기준과 절차
데이터 구조
  • 데이터 항목들 사이의 배열과 접근 관계를 논리적 관점에서 정의
  • 선형 구조, 트리 구조, 네트워크 구조 등으로 표현
데이터 값
  • 자료의 객체가 가지고 있는 길이나 형태 따위의 성질을 문자나 숫자로 표현하여 실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는 값
데이터 관리체계
  • 데이터 품질을 관리하기 위한 목표 설정, 정책 및 조직의 구성, 품질관리계획수립
  • 데이터의 연계 및 개방 등 관리체계 전반에 관한 사항

 

나. 예방적 품질관리 진단영역에 따른 9개 진단항목

단계
활동
산출물
데이터 표준
1.1 데이터표준화 및 상위 표준 준수
데이터 표준코드, 용어, 단어, 도메인 등 표준화반영여부
공통표준 및 기관표준 적용 준수여부
1.2 데이터 표준관리
데이터 표준 관리방안 반영 여부
데이터 표준변경 이력 관리방안 반영 여부
데이터 구조
2.1 데이터 구조 설계
데이터구조설계시 규칙, 고려사항 반영 여부
논리, 물리 설계위한 주제영역, 개념,논리모델 관련 반영여부
2.2 데이터 구조 검증
업무요구사항의 모델 반영과 구조 정규화수행
모델링 과정 및 구조 적정성 검증 등에 대한 활동사항 여부
2.3 데이터 구조 관리
데이터 구조 관리방안 반영 여부
데이터 구조 변경이력 관리방안 방안 여부
데이터 구조
3.1 데이터 값 검증
데이터 값 검증 계획 반영여부
데이터 값 검증 수행 및 검증결과 개선활동 반영여부
3.2 이관 데이터 값 검증
데이터 이관 계획 반영여부
이관 데이터 값 검증수행 검증 결과에 따른 개선활동 여부
데이터관리체계
4.1 데이터품질관리 체계
데이터 품질관리릉 위한 정책, 절차, 조직사항 반영여부
데이터 품질관리 위한 필수산출물 등 관련사항 반영 여부
4.2 데이터 개방 및 메타데이터 관리체계
개방예정 데이터 목록 등 기관 공공데이터 계획 반영여부
공공데이터베이스 메타데이터 등록, 관리 반영여부
 


 

공감과 댓글은 아이티신비에게 큰 힘이 됩니다.

블로그 글이 유용하다면 블로그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