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시스템 감리 기출문제해설/보안 해설

(제 25회) 보안 / (117)~(118) 해설

아이티신비 2025. 2. 26. 09:00

117. 하이브리드 암호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대칭키 암호화 방식에서 사용하는 세션키는 공격자의 추측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의사난수 생성기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② 메시지를 암호화할 때는 공개키 암호 시스템을 이용하므로 별도의 키 분배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③ 메시지 암호화에 사용한 세션키는 수신자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암호문과 결합하여 전송한다.

④ 전자메일 암호화 도구인 PGP에서도 하이브리드 암호 시스템을 이용하여 암호화를 수행한다.

 

 

■ 하이브리드 암호 시스템

  • 대칭키 암호화 공개키 암호의 장점을 조합한 통신수행이 가능
  • 메시지 암호화 시 사용된 대칭키는 수신자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배포

 

정답 : ②

 

 

118. 다음 중 인증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 하지 않은 것은?

 

① 사용자가 알고있는 정보에 의존하는 지식 기반 인증방식은 관리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지만 공격자에 의한 추측 가능성의 위험이 있다.

②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인증 수단을 이용하는 소유 기반 인증 방식은 복제 가능성이 있고 분실·파손·고장 등이 발생하는 경우 인증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③ 지문, 망막, 홍채 등을 이용하는 생체 인증방식은 생체 템플릿이라고 불리는 자신의 생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등에 등록 없이 인증이 가능하다.

④ 지식, 소유, 존재 및 행위에 의한 인증 수단 중 2가지의 인증 수단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인증 방식을 이중(Two-factor) 인증이라 한다.

 

■ 인증 방식

 
구분
설명
지식기반
(What You Know)
  • 사용자가 알고 있는 정보에 기반한 방법
  • 예 :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패스워드, 계좌번호 등
소유 기반
(What You Have)
  •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도구에 기반한 방법
  • 예 : OTP(One Time Password), 스마트 카드, 카드 키 등
존재 기반
(What You Are)
  • 사용자의 신체나 신체의 특징에 기반한 방법
  • 예 : 홍채/지문/음성/얼굴인식 등

 

● 생체 인증 단계

  • 등록(Enrollment) : 사용자가 생체 정보의 획득 및 템플릿을 생성하는 과정
  • 인식(Matching, Verification) : 사용자는 생체정보를 입력하고 이미 등록된 생체정보와 새로 얻어진 정보 사이에 비교

 

정답 : ③

 

 



 

공감과 댓글은 아이티신비에게 큰 힘이 됩니다.

블로그 글이 유용하다면 블로그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