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 큰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CPU가 그 동작들을 수행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모해야 하고, 시스템 버스도 대부분의 시간 동안 그러한 I/O 동작들을 위해 사용될 수 밖에 없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CPU의 개입 없이 I/O 장치와 기억장치 간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메커니즘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DMA ② Daisy-chain
③ Software polling ④ Memory-mapped I/O
■ 해설
- DMA 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CPU의 개입 없이 I/O 장치와 메모리 간에 직접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매커니즘(DMA 컨트롤러가 메모리와 I/O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직접 관리)
I/O 전송방식의 종류
|
|
폴링방식
|
신호선 사용 - 스토로브 제어(strobe control) : 1개 신호선으로 동기를 맞출수 있도록 스트로브 펄스 신호 보냄 |
인터럽트 방식
|
|
DMA 방식
|
는 CPU와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계된 장치
- 데이터가 도착할 메모리나 I/O 장치의 시작 주소 - 전송될 데이터 블록의 크기
|
정답 : ①
83.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ant Disk)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RAID-0은 성능을 추구하고 RAID-1은 안정성을 추구한 방식이다.
② RAID-2와 RAID-3은 성능향상을 위해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스크를 RAID-0으로 구성한 방식이다.
③ RAID-3은 데이터 복구를 위해 해밍코드를 사용하고,RAID-4는 패리티 코드를 이용한다.
④ RAID-5와 RAID-6은 데이터 복구를 위해 다른 디스크에 패리티 정보를 함께 저장해 안정성을 높인 방식이다.
■ 해설
- 1년간 시스템 다운 타임
- RAID-2 와 RAID-3 는 둘 다 고유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Striping 을 사용한다는 측면에서 RAID-0 과 연
- RAID-3 : 패리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복구를 수행(해밍코드는 RAID-2와 관련)
- RAID-4 : 블록-레벨 스트라이필을 사용하며, 별도의 패리티 디스크를 사용
- RAID-5 는 스트라이프 세트에 분산된 패리티를 사용하여 한 개의 디스크 장애를 허용
- RAID-6 은 두 개의 독립된 패리티 스키마를 사용하여 두 개의 디스크 장애를 허용
종류
|
주요특징
|
구성
|
최소 디스크 수
|
RAID0
|
패리티 없는 블록단위 스트라이핑
|
|
2
|
RAID1
|
패리티 없는 미러링
|
|
2
|
RAID2
|
비트 단위 스트라이핑과 해밍코드 검사디스크들
|
|
3
|
RAID3
|
비트단위 인터리빙과 전용 페리티 디스크
|
|
3
|
RAID4
|
블록 단위 스트라이핑과 전용 패리티 디스크
|
|
3
|
RAID5
|
블록 단위 스트라이핑과 분산 패리티
|
|
3
|
RAID6
|
블록단위 스트라이핑과 이중 분산 피리티
|
|
4
|
RAID1+0
|
패리티 없는 미러링과 블록 단위 스트라이핑
|
|
4
|
RAID0+1
|
|
4
|
정답 : ④
공감과 댓글은 아이티신비에게 큰 힘이 됩니다.
블로그 글이 유용하다면 블로그를 구독해주세요.♥
'정보시스템 감리 기출해설 > 시스템 구조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25회) 시스템 구조 / (86)~(87) 해설 (0) | 2025.02.11 |
---|---|
(제 25회) 시스템 구조 / (84)~(85) 해설 (0) | 2025.02.10 |
(제 25회) 시스템 구조 / (80)~(81) 해설 (0) | 2025.02.08 |
(제 25회) 시스템 구조 / (78)~(79) 해설 (0) | 2025.02.07 |
(제 25회) 시스템 구조 / (76)~(77) 해설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