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시스템 감리 기출해설/시스템 구조 해설

(제 25회) 시스템 구조 / (82)~(83) 해설

아이티신비 2025. 2. 9. 09:00

82. 큰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CPU가 그 동작들을 수행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모해야 하고, 시스템 버스도 대부분의 시간 동안 그러한 I/O 동작들을 위해 사용될 수 밖에 없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CPU의 개입 없이 I/O 장치와 기억장치 간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메커니즘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DMA ② Daisy-chain

③ Software polling ④ Memory-mapped I/O

 

■ 해설

  • DMA 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CPU의 개입 없이 I/O 장치와 메모리 간에 직접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매커니즘(DMA 컨트롤러가 메모리와 I/O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직접 관리)
 
I/O 전송방식의 종류
폴링방식
  • 프로그램에 의한 I/O 전송방식 이라고도 함
  • 주기적으로 각 I/O 장치의 상태를 검사해 전송할 데이터가 처리하는 방식
  • 폴링(polling) 은 특정 주소를 지정해 그 주소에서 데이터를 내놓도록 권유해 이를 가지고 오는 과정
  • CPU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I/O 장치들을 매번 엑세스 하도록 프로그래밍 함
  • 비동기 장치간 제어방식 필요
- 핸드세이킹(handshaking) : 비동기인 두 장치간 동기를 맞추기 위해 사전에 정해진
신호선 사용
- 스토로브 제어(strobe control) : 1개 신호선으로 동기를 맞출수 있도록 스트로브 펄스
신호 보냄
인터럽트 방식
  • I/O 장치의 데이터 전송 요청이 들어올 때만 CPU가 이를 처리하는 방식
  • 인터럽트 서비스 요구를 받은 CPU는 하던 일을 멈추고 요청한 데이터의 전송에 관여, 요청 작업이 끝나면 CPU 는 본래 하던 일로 복귀
  • 폴링방식에 의해 CPU가 많은 시간을 절약할 수있고 DMA 는 더 시간을 많이 절약할 수 있음
DMA 방식
  • 메모리와 I/O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CPU 대신 DMA(Direct Memory Access) 컨트롤러가 담당하는 전송방식
  • DMA 컨트롤러가 CPU에게 버스 사용권을 요구하면 CPU가 이를 승인하도록 설계, DMA 채널이 설정된 이후 DMA 컨트롤러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CPU가 관여를 하지 않음
※ 폴링방식이나 인터럽트 방식은 CPU가 데이터 전송에 직접 개입하나 DMA 컨트롤러
는 CPU와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계된 장치
  • CPU 가 DMA 컨트롤러에 데이터 전송 의뢰 시 넘겨주는 정보
- 데이터가 출발할 메모리나 I/O 장치의 시작 주소
- 데이터가 도착할 메모리나 I/O 장치의 시작 주소
- 전송될 데이터 블록의 크기
  • 동작모드로 사이클 스틸링 모드와 버스트 모드가 있음

 

정답 : ①

 

 

83.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ant Disk)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RAID-0은 성능을 추구하고 RAID-1은 안정성을 추구한 방식이다.

② RAID-2와 RAID-3은 성능향상을 위해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스크를 RAID-0으로 구성한 방식이다.

③ RAID-3은 데이터 복구를 위해 해밍코드를 사용하고,RAID-4는 패리티 코드를 이용한다.

④ RAID-5와 RAID-6은 데이터 복구를 위해 다른 디스크에 패리티 정보를 함께 저장해 안정성을 높인 방식이다.

 

 

■ 해설

  • 1년간 시스템 다운 타임
  • RAID-2 와 RAID-3 는 둘 다 고유한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Striping 을 사용한다는 측면에서 RAID-0 과 연
  • RAID-3 : 패리티를 사용하여 데이터 복구를 수행(해밍코드는 RAID-2와 관련)
  • RAID-4 : 블록-레벨 스트라이필을 사용하며, 별도의 패리티 디스크를 사용
  • RAID-5 는 스트라이프 세트에 분산된 패리티를 사용하여 한 개의 디스크 장애를 허용
  • RAID-6 은 두 개의 독립된 패리티 스키마를 사용하여 두 개의 디스크 장애를 허용
 
종류
주요특징
구성
최소 디스크 수
RAID0
패리티 없는 블록단위 스트라이핑
  • 빠른 입출력 속도가 요구되나 장애복구 능력은 필요 없는 분야
2
RAID1
패리티 없는 미러링
  • 빠른 기록속도와 함께 장애 복구 능력이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
  • 2대의 드라이브만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시스템에 적합
2
RAID2
비트 단위 스트라이핑과 해밍코드 검사디스크들
  • 모든 현행 드라이브들이 ECC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거의 미사용
3
RAID3
비트단위 인터리빙과 전용 페리티 디스크
  • 비트 인터리브된 패리티 방식
  • 바이트 단위로 분산 저장하고 하나의 패리티 검사디스크를 사용
3
RAID4
블록 단위 스트라이핑과 전용 패리티 디스크
  • 블록 인터리빙
3
RAID5
블록 단위 스트라이핑과 분산 패리티
  • 데이터와 패리티를 함께 스트라이핑
  • 빠른 기록 속도가 필수적이지 않다면, 일반적인 다중사용자 환경을 위해 가장 좋은 선택
  • 그러나 최소한 3대, 일반적으로 5대 이상의 드라이브가 필요
3
RAID6
블록단위 스트라이핑과 이중 분산 피리티
  • 블록 인터리브 분산 듀얼 페리티, RAID5와 유사하나 하나의 패리티를 두개의 디스크에 분산저장
  • 쓰기 속도는 저하 될 수 있지만 안정성이 높아지는 장점
4
RAID1+0
패리티 없는 미러링과 블록 단위 스트라이핑
  • Mirroring→Stripping
  • 고신뢰성이 결합된 고성능 분야(HA,FT)
  • RAID 0+1 보다 가용성 측면에서 유리
  • 0+1 보다 더 안정
4
RAID0+1
  • Stripping → Mirroring
  • 고성능, 고속 Data 전송
4

 

정답 : ④

 





 

공감과 댓글은 아이티신비에게 큰 힘이 됩니다.

블로그 글이 유용하다면 블로그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