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 다음 중 광역 통신망의 데이터 송수신(교환) 방법 중에서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축적 전송 방식(Store-and-Forward)이라고도 한다.
②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유휴 시간에도 회선을 점유하므로 비효율적이다.
③ 전송할 메시지를 패킷 단위로 나누어 우선순위가 높은 패킷을 먼저 전송할 수 있다.
④ 실시간 통신이나 대화형 통신보다는 지연이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이메일·파일 전송 등에 적합하다.
■ 해설
- 회선교환의 특징
- 일단 회선이 설정되면 사용자 간에 투명한 정보전달 기능 제공
- 고정된 data 전송률에 의해 정보 전송
- 가장 간단한 통신 방식으로 시간에 의한 과금 시스템
- Data 가 전송되고 있지 않을 때에도 호의 연결이 지속되고 있는 한 채널 용량을 고정적으로 할당하므로
비효율적
- 원래 음성 트래픽을 위해 개발되었으나 현재 데이터 트레픽을 지원하기 위해서도 사용(예:공중 전화망)
구분
|
새부설명
|
특징
|
|
회선
교환 |
|
|
|
메세지교환
|
|
|
|
패킷
교환 |
|
|
|
가상회선
|
|
|
|
데이터
그램 |
|
|
정답 : ②
85. 다음 중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하는 에러검출 방식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블록합검사(Block Sum Check)
② 패리티검사(Parity Check)
③ 순환중복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④ 허프만코딩검사(Huffman Coding Check)
■ 해설
- 오류 정정 부호 방식 : 해밍코드, 상승코드
- 오류 검출 부호 방식 : 패리티 검사, 블록합검사, 순환중복검사(CRC), 체크섬
- 허프만 인코딩 : 고정길리의 부호를 가변길이 부로호 바꾸는 압축방법으로 통신 오류 제어와는 무관함
구분
|
형태
|
사례
|
||
BEC
|
|
|
||
FED
|
|
|
||
Block Code
|
Hamming Code
|
|
||
RS(Reed-Solomon Code)
|
|
|||
Non Block Code
|
Convolutional Code(갈쌈부호)
|
|
||
Tubo Code
|
|
정답 : ④
공감과 댓글은 아이티신비에게 큰 힘이 됩니다.
블로그 글이 유용하다면 블로그를 구독해주세요.♥
'정보시스템 감리 기출해설 > 시스템 구조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25회) 시스템 구조 / (86)~(87) 해설 (0) | 2025.02.11 |
---|---|
(제 25회) 시스템 구조 / (82)~(83) 해설 (0) | 2025.02.09 |
(제 25회) 시스템 구조 / (80)~(81) 해설 (0) | 2025.02.08 |
(제 25회) 시스템 구조 / (78)~(79) 해설 (0) | 2025.02.07 |
(제 25회) 시스템 구조 / (76)~(77) 해설 (0)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