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시스템 감리 기출해설/시스템 구조 해설

(제 25회) 시스템 구조 / (86)~(87) 해설

아이티신비 2025. 2. 11. 09:00

86. 다음에서 설명하는 라우팅 기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패킷을 전송하는 호스트가 목적지 호스트까지 전달경로를 스스로 결정하는 방식
  • Ÿ 이 방식을 지원하려면 송신 호스트의 라우팅 테이블에서 패킷을 수신 호스트까지 전달하기 위한 정보경로를 관리하여야 하며, 경로 정보를 패킷에 기록해야 함

① 계층라우팅(Hierarchical Routing)

② 분산라우팅(Distributed Routing)

③ 소스라우팅(Source Routing)

④ 중앙라우팅(Centralized Routing)

 

■ 해설

  • 이름에서도 유추가 가능하듯이 소스(출발지)에서 결로를 스스로 결정하는 방식
소스 라우팅
  • 패킷을 전송하는 호스트가 목적지 호스트까지의 전달 경로를 스스로 결정하는 방식을 소스라우팅(Source Routing)이라고 한다. 소스 라우팅을 지원하려면 송신 호스트의 라우팅 테이블에 패킷을 수신 호스트까지 전달하기 위한 전송 경로 정보를 관리해야 하며, 이러한 경로 정보를 전송 패킷에 기록해야 한다. 중간 라우터에서는 전송 패킷에 포함된 경로 정보를 이용해 패킷을 중개함으로써 최종 목적지까지 올바르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소스 라우팅 방식은 모든 라우팅 정보를 송신 호스트가 관리하므로 중간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을 따로 관리할 필요가 없다.
  • 소스 라우팅은 데이터그램 방식과 가상 회선 방식에서 모두 이용할 수 있다. 가상 회선 방식에서는 연결의 초기화 과정에서 경로 정보를 담은 특수 연결 패킷을 사용한다. 중간 라우터는 패킷의 경로 정보를 해석함으로써 전달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데이터 그램 빙식에서는 전송되는 모든 패킷의 헤더에 경로 정보가 들어가므로 신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분산 라우팅
  • 분산 라우팅(Distributed Routing)은 라우팅의 정보가 분산되는 방식이다. 패킷의 전송 경로에 위치한 각 라우터가 효율적인 경로 선택에 참여하여, 데이터그램 방식에서 많이 사용한다. 장점은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호스트 수가 많아질수록 다른 방식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라우터가 관리하는 경로 정보는 다음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내용을 포함하는데 네트워크 상황에 다라 적절히 변경하는 동적 특징이 있다.
중앙 라우팅
  • 중앙 라우팅(Centralized Routing)은 RCC(Routing Control Center) 라는 특별한 호스트를 사용해 전송 경로에 관한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패킷 전송을 원하는 송신 호스트는 반드시 RCC로부터 목적지 호스트까지 도착하기 위한 경로 정보를 미리 얻어야 한다. 이 정보를 이용해 송신 호스트는 소스 라우팅과 동일한 원리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 중앙 라우팅의 장점은 경로 정보를 특정 호스트가 관리하기 때문에 다른 일반 호스트가 경로 정보를 관리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네트워크 규모가 커짐에 따라 RCC에 과중한 트래픽을 주어 전체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계층 라우팅
  • 계층 라우팅(Hierarchical Routing)은 분산 라우팅 기능과 중앙 라우팅 기능을 적절히 조합하는 방식으로, 전체 네트워크의 구성을 계층 형태로 관리하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규모가 계속 커지는 환경에 효과적이다.

 

정답 : ③

 

 

87. 다음 보기의 IP주소를 가진 노드가 속하는 LAN에서 디폴트 게이트웨이 IP주소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디폴트 게이트웨이의 IP주소에서 호스트 아이디 부분은 1로 가정한다.)

 
182.75.187.69/27

 

① 182.75.187.1

② 182.75.187.5

③ 182.75.187.65

④ 182.75.187.255

 

■ 해설

  • 1차적으로 182.75.187.67/27 정보를 네트워크 구성 파악 필요
  • 서브넷 마스트(1부분 네트워크 표시, 0부분 호스트 표시) 이해 필요
 
182.75.187.69/27

 

위 호스트는 IP 주소는 182.75.187.69 를 사용하고 서브넷마스크는 255.255.255.224/27 의 의미는 서브넷 주소가 앞에서 부터 1이 27개 → 11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

→ 즉, 27 Bit 는 네트워크 영역을 표시하고, 0으로된 5Bit는 호스트를 표시(최대 32개의 호스트 주소)

→ 문제 사용자 IP : 10110110.01001011.10111011.01000101(182.75.187.69)

→ 밑줄이 있는 27자리 부분이 네트워크 주소, 0101이 호스트 주소임(서브넷마스트와 AND 연산)

→ 네트워크 주소 : 182.75.187.64(010 00000)

→ 게이트워이 주소 : 네트워크 주소 다음의 첫번째 사용 가능한 값 182.75.187.65

 

[참고]

여기서 사용 가능한 HOST 주소는 32개 이므로 끝자리 65~95(01000000 ~ 01011111)까지 HOST IP 주소 사용 가능함(네트워크 주소, 게이트웨이주소, 브로드케스트 주소 포함)

따라서, 브로드캐스트 주소 값은 네트워크 주소 범위 맨 뒤 값인 182.75.187.95

 

정답 : ③

 





 

공감과 댓글은 아이티신비에게 큰 힘이 됩니다.

블로그 글이 유용하다면 블로그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