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정보시스템 감리 기출문제해설/감리 및 사업관리 해설 46

(제 24회) 감리 및 사업관리 / (13)~(15) 해설

13. 다음 중 「정보시스템 감리수행 가이드(2022.2)」 에서 제시한 기술적용결과표 준수여부를 점검하는 감리단계로 가장 적절한 것은?① 요구정의단계 감리② 설계단계 감리③ 종료단계 감리④ 상주감리 ▣ 감리법인은 제안요청서(RFP)에 기술적용계획표/결과표 양식을 포함해 사업자로 하여금 제안시점에 기술적용계획표를 작성 제출하라고 요청하고 이를 요구정의단계 감리시점에 감리원이 점검을 하고 사업 종료 시점에 사업자는 기술젹용결과표를 작성하고 이것을 감리원이 점검을 함 기술적용결과표[구축 · 운용지침]제 43조(기술적용 계획 준수) ①(생략)② 사업자는 사업 검사 및 최종감리 수행 시 별도 제1호 서식의 기술적용결과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제49조(감리시행) ①(생략)② 감리법인은 제7조 제1항 또는 제 ..

(제 24회) 감리 및 사업관리 / (10)~(12) 해설

10. 다음 중 조직의 팀 유형 중에서 교차기능팀 (cross-functional team)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① 프로젝트 팀이나 문제해결을 위한 태스크포스팀(task force team)이 교차기능팀의 대표적인 예이다.② 조직의 업무 절차의 효율성이나 비용 절감보다는 목표 달성이나 질적 향상과 같은 가치를 중요시 한다.③ 조직의 공동 문제나 과업 해결을 위해 조직 전체에 걸쳐 여러 전문 분야의 사람들로 구성된 한시적 팀이다.④ 새로운 사업이나 제품 개발 혹은 도입에 필요한 아이디어와 대안 찾기와 같은 비일상성 혹은 비정형성이 높다. ▣ 교차기능 팀(Cross Function Team)교차기능팀이란 다양한 기능을 대표하는 사람들이 모인 프로젝트 팀SW 프로젝트는 상품관리자, 디자이..

(제 24회) 감리 및 사업관리 / (7)~(9) 해설

7. 다음 중 중요한 작업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작업을 병렬로 수행하는 일정 단축 기술은 무엇인가?① 공정압축(crashing)② 공정중첩단축(fast tracking)③ 자원평준화(resource leveling)④ 몬테카를로(Monte Carlo) ▣ 일정 단축 기법- 프로젝트 범위를 축소하는 일 없이 일정기간을 단축하거나 앞당기기 위해 사용공정압축법(Crashing)공정중첩 단축법(Fast Tracking)자원을 추가 투입해서 프로젝트의 기간을 단축하는 기법- 자원(비용)을 Critical Path 상의 Activity에 투입- Critical path 중에서 비용대비 효과가 높은 activity에 우선적으로 투입Crashing 를 한 이후에는 반드시 Critical path의 변경 유무를 확인- ..

(제 24회) 감리 및 사업관리 / (5)~(6) 해설

5. 프로젝트 기획에서는 인도(delivery)를 위한 프로젝트 범위를 상위 수준에서 하위 수준으로 점차 분할하여 정의할 수 있다. 다음 중 분할과정에서 사용되는 개념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가치흐름 맵(value flow map)② 테마(theme) 혹은 에픽(epic)③ 사용자 스토리(user story)④ 작업분류체계(WBS) ▣ 작업분류체계(WBS) 1) 예측형주요 인도물과 각 인도물의 인수기준을 식별하기 위해 범위기술서를 사용하여 범위를 구체화작업분류체계(WBS)는 프로젝트팀에서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인도물을 생산하기 위해 수행할 전체 작업 범위를 계측 구조로 분할계층 구조의 각 하위 수준은 인도물과 인도물 생성에 필요한 작업에 대한 더 높은 수준의 상세 정보를 표시 2) 적응형..

(제 24회) 감리 및 사업관리 / (3)~(4) 해설

3. 프로젝트 일정관리 기법 중에 하나인 GERT(Graphical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작업시간의 분포는 항상 베타분포를 가정한다.② 마디(node)에서 갈라져 나오는 화살표는 확률적 으로 발생한다.③ 마디(node)의 이벤트는 항상 확정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④ 네트워크에서 루프가 허용되어 마디(node)의 이벤트나 작업이 루프에 의해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 GERT, PERT, CPM일정 분석 방법설명GERT조건에 따라 분기(Branch) 혹인 반복(Loop) 되는 경우를 표현 할 수 있는 네트워크 다이어그램PERT미 해군 미사일 개발 프로젝트에서 기원Probabilistic(액티비티 기간 추정의 불확실..

(제 24회) 감리 및 사업관리 / (1)~(2) 해설

1. 프로젝트 성과 측정에 사용되는 획득가치관리(earned value management)를 위해서는 적절한 진척(progress) 정보가 필요하다. 어느 프로젝트에서는 하나의 작업활동이 시작되면 진척률을 20퍼센트로 인정한다. 그 이후 작업활동의 진척이 계속 증가하더라도 진척률을 계속 20퍼센트로 인정하다가, 그 작업활동이 완료될 때 나머지 80퍼센트를 인정하여 최종적으로 100퍼센트 진척으로 인정해 준다. 다음 중 이러한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어느 것인가? ① 고정비율법(fixed formula)② 가중 마일스톤 기법(weighted milestone)③ 시작-종료 측정(start-finish measurement)④ 달성률(percentage completion)  ▣ EV 측정 방법(P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