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정보시스템 감리 기출문제해설/감리 및 사업관리 해설 46

(제 22회) 감리 및 사업관리 / (7)~(8) 해설

7. 현재 어떤 프로젝트의 원가성과지수(CPI)가 1.15이고일정성과지수(SPI)가 1.25라고 할 때, 다음 중 옳게 해석한 것은? ① 프로젝트가 계획보다 더 빨리 진행되고 있고, 계획보다 비용이 적게 들고 있다.② 프로젝트가 계획보다 더디게 진행되고 있고, 계획보다 더 많은 비용이 들고 있다.③ 프로젝트가 계획보다 더디게 진행되고 있고, 계획보다 비용이 적게 들고 있다.④ 프로젝트가 계획보다 더 빨리 진행되고 있고, 계획보다 더 많은 비용이 들고 있다. ▣ EVM ( Earned Value Mnangement)1) 프로젝트 진행 상태 값PV(Planned Value) : 계획된 업무의 양AC(Actual Cost) : 실제 완료된 업무의 투입된 비용EV(Earned Value) : 실제 완료된 업무의..

(제 22회) 감리 및 사업관리 / (5)~(6) 해설

5. 다음 중 프로젝트에서 조직설계 시 핵심적인 작업 처리 과정, 정보 흐름 등에 따라 종업원을 부서화하는 방법(departmental grouping option)을 일컫는 용어는?① 기능별 부서화(functional grouping)② 사업부별 부서화(divisional grouping)③ 수평적 부서화(horizontal grouping)④ 다초점 부서화(multifocused grouping) ▣ 조직 설계 요소1) 일/작업(work activities)부서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 진다.제조업은 조직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활동, 인적자원 선발과 훈련을 담당하는 인사부서, 원재료와 부품을 구매하는 구매부서,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부서, 제품을 판매하는 판매부서 등..

(제 22회) 감리 및 사업관리 / (3)~(4) 해설

3. 프로젝트에서 이해관계자(stakeholder)들을 식별하고 이들의 참여 수준을 검토하는 것이 좋다. 다음 중 이해관계자 참여 수준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중립(neutral) ② 선도(leading)③ 인지(aware) ④ 저항(resistant) ▣ 데이터 표현 - 이해관계자 참여 평가 매트릭스 - SH 참여도 분류비인지형(Unaware)프로젝트와 잠재적 영향력을 인지하지 못하는 수준저항형(Resistant)프로젝트와 잠재적 영향력은 인지하고 있지만 프로젝트 작업 또는 결과로 발생할 수 있는 변화에 저항하는 수준(비협조적)중립형(Neutral)프로젝트를 인지하고 있지만 비협조도 하지 않는 수준지원형(Supportive)프로젝트와 잠재적 영향력을 인지하고 프로젝트 작업 및 결과를 지원하는..

(제 22회) 감리 및 사업관리 / (1)~(2) 해설

1. PERT(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분석에서 주공정 경로(critical path)의 분산이 4.0이고 기대 소요시간이 20일이다. 프로젝트가 계획된 기간 내에 완료될 확률이 95%가 되려면 프로젝트 기간을 얼마로 계획해야 하는가? (단, 표준정규분포에서 누적확률이 95%가 되는 z 값은 1.65로 가정한다.) ① 21.9 ② 23.3 ③ 23.8 ④ 26.4 ▣ PERT(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3점 산정1) 설명산정의 불확실성과 리스크를 고려하여 1점 기간 산정치의 정확도를 개선선례 데이터가 불충분하거나 판단 데이터를 사용할 때, 활동기간의 대략적 범위를 정의할 때 유용 2) 3가지 측정 값최빈치 :..

(제 23회) 감리 및 사업관리 / (23)~(25) 해설

23. 전자정부법 시행령(대통령령, 2021)에 규정하고 있는 감리 절차의 순서를 가장 바르게 나열한 것은? 가. 감리 착수회의 실시나. 예비조사 실시 및 감리계획 수립다. 감리보고서 통보라. 감리 종료회의 실시① 가 - 나 - 다 - 라② 나 - 가 - 다 - 라③ 나 - 가 - 라 - 다④ 가 - 나 - 라 - 다  ▣ 김리업무의 수행절차감리계약의 체결예비조사 실시 및 감리계획 수립감리 착수회의 실시감리 시행 및 감리보고서의 작성감리 종료회의 실시감리보고서의 통보감리에 따른 시정 조치 결과의 확인 및 통보(정보시스템 감리업무의 수행형태에 딸 일부 절차를 변경하거나 생략 가능) 정답 : ③   24.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2021)’의 소프트웨어 유지관리 유형과 세부 업무를 ..

(제 23회) 감리 및 사업관리 / (21)~(22) 해설

21. ‘공공기관의 데이터베이스 표준화 지침(행정안전부고시, 2021)’에서 업무담당자가 감리법인 에게 요구하여야 할 점검 사항에 해당되는 것은 몇 개 인가?가. 범정부 및 기관의 데이터 표준 지침 적용 여부나. 공공데이터베이스 표준화 체계 정비ㆍ개선 및 관리방안다. 공공데이터베이스 구조설계 및 검증, 관리방안라. 데이터 값 검증 방안마. 데이터 표준ㆍ구조ㆍ값ㆍ개방 관리체계바. 메타데이터 등록 및 현행화 방안① 3개 ② 4개③ 5개 ④ 6개  ▣ 해설 제10조(정보화사업 수행 시 공공데이터베이스 표준 적용)① 공공기관의 장은 데이터베이스 구축·운영·고도화 사업 등 정보화사업을 수행하는 경우 업무담당자 소관 공공데이터베이스에 대한 표준을 적용하도록 하여야 한다.② 업무담당자는 정보화사업 발주를 위한 제안요..

(제 23회) 감리 및 사업관리 / (19)~(20) 해설

19. ‘소프트웨어프로세스 품질인증 운영에 관한 지침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2021)’에서 정한 소프트웨어프로세스 품질인증 기준의 ‘영역’과‘평가항목’을 잘못 연결한 것은? ① 소프트웨어 개발 계획수립, 통제 등 관리프로세스에 관한 사항 – 협력업체 관리② 소프트웨어 개발공정에서 필요한 분석, 설계 등 개발 프로세스에 관한 사항 – 고객 요구사항 관리③ 소프트웨어 품질관리에 필요한 품질보증 등 지원프로세스에 관한 사항 - 형상관리④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의 유지 및 개선 등에 관한 사항 – 구성원 교육  ▣ 해설영역1. 소프트웨어 개발 계획수립, 통제 등 관리프로세스에 관한 사항평가항목세부평가항목1.1 프로젝트 계획1.1.1 프로젝트의 목표 및 범위를 결정한다.1.1.2 프로젝트에 적용할 생명주기와 프로..

(제 23회) 감리 및 사업관리 / (17)~(18) 해설

17. 다음 중 정보시스템 개발 사업 중 감리법인이 직접수행해야 하는 업무에 해당하는 것은 몇 개 인가? 가. 개인정보영향평가보고서 작성나. 기술적용결과표 작성다. 보안약점진단보고서 작성라. 종료단계 기능점수 산출내역서 작성마. 종료단계 감리 시정조치확인보고서 작성① 1개 ② 2개③ 3개 ④ 4개  ▣ 해설제 8조(보안성 검토 및 보안관리)④ 행정기관 등의 장은 전자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개인정보파일 및 개인정보처리시스템을 신규 구축 · 운용 또는 변경하려고 하는 경우 「게인정보 영향평가에 관한 고시」 제9조의2에 따라 개인정보 영향평가를 정보시스템 설계완료 전에 수행하여야 한다. 제43조(기술적용 계획 준수)① 사업자는 제7조제1항 또는 제7조 제4항에 따른 기술적용계획표를 준수하여 사업을 추진하여야 ..

(제 23회) 감리 및 사업관리 / (15)~(16) 해설

15. 다음은 ‘정보시스템 감리수행 가이드(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1)’에서 제시한 종료단계 감리 시점에 관한 설명이다. 빈칸에 가장 적절한 것은? 종료단계 감리 시점은 ( 가 ) 이후에 시작하고, 시정조치 확인 기간이 ( 나 )에 종료될 수 있는 시점이 적합하다.① (가) 통합시험 (나) 검사 이전② (가) 통합시험 (나) 검사 완료 이전③ (가) 시스템시험 (나) 검사 이전④ (가) 시스템시험 (나) 검사 완료 이전  ▣ 감리 수행 절차 개요 요구정의단계 감리요구정의단계 감리는 계약문서에서 정한 과업내용이 요구사항정의서에 적정하게 반영되었는지 점검하는 것이 목적이다.일반적인 개발방법론에서 요구정의단계가 별도로 구분된 단계가 아니기 때문에 요구정의단계 감리는 분석단계 완료시점에서 실시한다.설계단계..

(제 23회) 감리 및 사업관리 / (13)~(14) 해설

13. 다음 중 ‘전자정부법 시행령(대통령령, 2021)’ 에서 규정된 감리법인의 업무범위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과업 이행 여부 점검② 전자정부사업관리와 관련된 보고 및 의사결정 지원③ 과업범위 및 요구사항의 설계 반영 및 구체화 여부 검토ㆍ확인④ 사업수행계획의 계약내용 반영 여부, 일정 및 산출물 작성계획의 적정성 여부 검토ㆍ확인 ▣ 감리법인의 업무범위사업 수행계획의 계약내용 반영 여부, 일정 및 산출물 작성계획의 적정성 여부 검토·확인과업범위 및 요구사항의 설계 반영 및 구체화 여부 검토·확인과업 이행 여부 점검관련 법령 등, 규정 및 지침 등의 준수 여부에 대한 검토·확인그 밖에 법 제57조 제5항에 따른 감리기준에서 정하는 사항 정답 : ②    14.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한국소프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