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 다음 중 IP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IPv4 헤더는 옵션이 없을 경우 20바이트이다.
② IPv6 헤더의 크기는 40바이트이며 IPv4와 마찬 가지로 옵션을 가진다.
③ IPv6 헤더에도 IPv4에서 패킷 단편화에 필요했던 ID Number, Don’t Fragment, More Fragment 필드가 존재한다.
④ IPv4 패킷 단편화와 관련된 3가지 필드 중 분할된 패킷이 여러 개 있는 경우, 같은 원본 패킷에 속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More Fragment이다.
■ 해설
- IPv4 헤더는 기본적으로 20바이트이며, 옵션이 있을 경우 더 길어질 수 있음
- IPv6 헤더의 기본 크기는 40바이트로 고정되어 있지만 IPv4 와 다르게 IPv6 는 확장 헤더를 통해 추가적인 옵션을 처리함
- IPv6 헤더에는 IPv4 에서 패킷 단편화에 사용되었던 ID Number, Don't Fragment, More Fragment 필드가 존재하지 않음, IPv6 에서는 단편화 관련 정보가 확장 헤더에 포함됨
- 원본 패킷에 속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필드는 Identification 필드, More Frament 필드는 분할된 패킷이 더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구분
|
IPv4
|
IPv6
|
주소길이
|
32비트
|
128비트
|
주소갯수
|
2^128(약 43억^4개)
|
2^32(약 43억개)
|
패킷 헤더
|
가변 크기 헤더(기본 20바이트, 최대 60바이트)
|
고정 크게 헤더(기본 40바이트)
|
주소 할당 방법
|
A,B,C,D(멀티캐스트) 클라스, CIDR
|
CIDR기반 계층적 할당(클라스)
|
캐스팅
|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지원
|
유니캐스트, 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
헤더 필드수
|
12
|
8
|
QoS지원 기능
|
없음
|
있음
|
보안 기능
|
없음(별도설치)
|
확장 기능에서 기본 제공
|
Plug&Play
|
지원 수단 없음
|
지원 수단 있음
|
모바일IP지원
|
가능(복잡)
|
가능(간단)
|
웹 캐스팅
|
가능(복잡)
|
가능(간단)
|
IPv6 삭제필드
|
|
|
|
|
|
|
|
|
|
|
|
IPv6 변경필드
|
|
|
IPv6 추가필드
|
|
|
|
|
정답 : ①
89.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와 사설 IP주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3.234.23.87은 사설 IP주소로 활용할 수 있다.
② 사설 IP주소와 공인 IP주소를 1대1로 고정적으로 매핑하는 것을 Static NAT라고 한다.
③ 내부 네트워크(LAN)에서 사용하는 사설 IP주소와 외부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공인 IP주소를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④ IP주소뿐만 아니라 포트 번호를 사용하는 NAPT (Network Address Port Translation) 또는 PAT(Port Address Translation) 방법이 있다.
■ 해설
- 13.234.23.87 은 공인 IP 주소 범위에 속함
- 사설 IP 주소의 범위(10~~, 172.16~~, 192.168~~)
- 10.0.0.0 ~ 10.255.255.255
- 172.16.0.0 ~ 172.31.255.255
- 192.168.0.0 ~ 192.168.255.255
정답 : ①
공감과 댓글은 아이티신비에게 큰 힘이 됩니다.
블로그 글이 유용하다면 블로그를 구독해주세요.♥
'정보시스템 감리 기출해설 > 시스템 구조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25회) 시스템 구조 / (90)~(91) 해설 (0) | 2025.02.13 |
---|---|
(제 25회) 시스템 구조 / (86)~(87) 해설 (0) | 2025.02.11 |
(제 25회) 시스템 구조 / (84)~(85) 해설 (0) | 2025.02.10 |
(제 25회) 시스템 구조 / (82)~(83) 해설 (0) | 2025.02.09 |
(제 25회) 시스템 구조 / (80)~(81) 해설 (0)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