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시스템 감리 기출해설/시스템 구조 해설

(제 25회) 시스템 구조 / (90)~(91) 해설

아이티신비 2025. 2. 13. 09:00

90. 다음에 해당하는 장비로 가장 적합한 것은?

 

 
하나의 LAN 내부에 속하는 여러 단말노드를 연결하기 위한 장비로서, 이더넷(Ethernet) 방식의 네트워크에서는 충돌 도메인(Collision Domain)을 나누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① 모뎀(MODEM) ② 리피터(Repeater)

③ L2 스위치(L2 Switch) ④ USB 허브(USB Hub)

 

■ 해설

  • 모뎀 :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 간에 신호간에 신호를 변조/복조해주는 장치
  • 리피터 : 거리에 따라 신호가 약해지는 것을 막기위해 증폭해 재전송해주는 장치
  • USB 허브 : 하나의 USB 포트를 여러 개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 해주는 장치
 
설명
Collision Domain
  • 충돌이 일어날 수 있는 영역
  • PC 두 대가 동시에 데이터를 Hub 에게 보낸다는 두 데이터 간에 충돌(Collision) 이 발생
  • 같은 Hub 는 하나의 Collision Domain 을 갖는데 이것은 한 PC가 데이터를 보낼 때 다른 PC는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 옮. 그렇다면 PC 를 많이 두면 Collision 은 더 심해질 것이며 이때 사용되는게 Collision 을 나누어 주는 Switch
Broadcast Domain
  •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비가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보냈을 시 이 브로드캐스트를 받는 장비의 집합을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 예를 들어 한 PC가 Broadcast 를 하여 모든 PC에게 데이터를 보냄
  • 각각 PC 들 마다 받은 데이터를 확인하려고 하던 일을 멈춰야 하므로 PC 성능에 영향을 주며 트래픽이 증가하다. 이러한 Broadcast를 나눠주는 라우터

정답 : ③

 

 

91. FSK(Frequency Shift Keying)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주파수와 위상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② 최대진폭과 위상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③ 최대진폭과 주파수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④ ASK(Amplitude Shift Keying)에 비해 잡음과 간섭에 매우 민감하다.

 

■ 해설

  •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

- FSK(Frequency Shift Keying) 는 디지털 신호 1과 0을 표현하기 위해 서로 다른 아날로그 주파수를 이용

- 과거 모뎀(컴퓨터 신호를 전화선으로 전송)하는데 이용했으니 이 또한 저속에서 사용됨

- ASK 보다는 잡음과 간섭에 우수하나 FSK 또한 여전히 잡음에 취약함

- ASK 는 진폭, 주파수, 위상 중 진폭 변화를 사용하므로 1번은 ASK에 가까움

- FSK 는 진폭, 주파수, 위상 중 주파수 변화를 사용하므로 진폭과 위상이 일정함

 
ASK
(Amplitude Shift Keying)
진폭 편이 변조
  • 디지털 클럭이 1일때는 높은 진폭을 디지털 클럭이 0일때는 낮은 진폭을 보내는 AM디지털 전송방식
  • 진폭에 정보가 담겨 있기 때문에 감쇄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아 장거리 및 대용량 전송에 적합하지 않음
  • ASK는 구조와 원리가 가장 간단하지만 전압을 조정하는 방식이라 상대적으로 잡음의 영향을 많이 받음
  •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에서 전용 근거리 통신(DSRC, 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이용하는 하이패스에 사용
FSK
(Frequency Shift Keying)
주파수 편이 변조
  • 디지털 클럭이 0일때 낮은 주파수 1일때 높은 주파수를 보내는 FM 디지털 전송방식
  • 주파수에 정보를 담기 때문에 전송로 상태에 감함
  • 전송선로에 감쇄, 왜곡, 간섭은 발생하지만, 어떤 경우에도 주파수 변화는 없고, 예외적으로 송수신기가 모두 움직일때 도플러 효과가 유일함, 따라서 전송로 상태가 열악한 홈네트워크 계열에 많이 사용
※ 도플러 효과 : 파동의 발생지/수신자가 이동함에 따라 겉보기 수신 주파수가 달라지는
현상
  • 블루투스 등의 홈네트워크 분야와 컨테이너 관리분야에 활용
PSK
(Phase Shift Keying)
위상 편이 변조
  • 반송파의 위상들을 다르게 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 M진 PSK 의 M 은 2^n 을 의미하여 1회 변조시 전송되는 비트 수
  • M진 PSK는 2진, 4진, 8진 PSK 등이 있음
  • PSK 는 일정한 진폭을 유지하므로 전송로에 의한 레벨변동 및 심벌 에러에 감하고 변복조회로가 단순
  • 이동통신과 위성통신분야에 적용됨

 

정답 : ②

 





 

공감과 댓글은 아이티신비에게 큰 힘이 됩니다.

블로그 글이 유용하다면 블로그를 구독해주세요.♥